new data flow

  • 태그

'IT 공부/Server, Network, 보안'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9.01.14 Websphere 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2. 2018.12.03 웹사이트 접속불가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3. 2018.10.29 타기관으로부터 침입탐지에 대한 원인파악 협조 요구 대처 (access_log 분석)
IT 공부/Server, Network, 보안2019. 1. 14. 14:30

Websphere 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IBM Websphere  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오류





1.  환경


개발 프레임워크 : Spring (java)

Web / WAS : IBM Webpshere

 

2.  문제발생

 

IBM WeSphere 사용환경에서 특정 업무 시스템 이용(클릭) 시 (어플리케이션 사용)  아까 전만 해도 잘되던 것이 갑자기 아래와 같은 에러 문구를 뿌리며 서버 500 에러가 발생하였다.

 

[19. 1. 14   13:43:09:995 KST] 00000b9c SystemErr     R Exception: com.ibm.websphere.naming.CannotInstantiateObjectException: An unexpected error occurred while attempting to deserialize retrieved object. [Root exception is java.lang.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3.  원인추적

 

JVM에 할당된 Heap Memory 초과가 이유이다.

아래의 ibm was 경로를 따라가서 보면 최종적으로

전체 사용가능 힙 메모리 크기 2048 MB 중 현재 2040 MB (99%) 쓰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에러 발생의 원인이다.

 


 

 

*참고로 힙메모리 사이즈 설정은 아래 구성 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

 


 

4.  해결책

 

근본적인 해결책인 어플리케이션 상 어떤 부분의 어떤 작업이  Heap 메모리 초과를 일으켰는지 파악해야겠지만 현재로선 당장 시스템 사용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내렸다 올려서 heap 공간을 초기화시키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    서버 >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에서 해당 서버를 중지시켰다 시작시킨다.

 


 

 

그 다음

 

□   애플리케이션 > WebSphere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war)를 중지시켰다 시작한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IT 공부 > Server, Network,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사이트 접속불가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0) 2018.12.03
타기관으로부터 침입탐지에 대한 원인파악 협조 요구 대처 (access_log 분석)  (0) 2018.10.29
Posted by 엘랑비탈
IT 공부/Server, Network, 보안2018. 12. 3. 16:11

웹사이트 접속불가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1.  증상

어느날 갑자기 잘 되던 사이트가 안 들어가진다.

 

 

 




 

2.  아파치 로그 확인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들 발견


[root@test logs]# tail -f error_log


[Mon Dec 03 09:32:38 2018] [error] Unable to verify certificate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so the server can start until the problem can be resolved.

[Mon Dec 03 09:56:26 2018] [notice] suEXEC mechanism enabled (wrapper: /usr/sbin/suexec)

[Mon Dec 03 09:56:27 2018] [error] SSL Library Error: -8181 Certificate has expired

[Mon Dec 03 09:56:27 2018] [error] Unable to verify certificate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so the server can start until the problem can be resolved.

[Mon Dec 03 09:56:51 2018] [notice] suEXEC mechanism enabled (wrapper: /usr/sbin/suexec)

[Mon Dec 03 09:56:51 2018] [error] SSL Library Error: -8181 Certificate has expired

[Mon Dec 03 09:56:51 2018] [error] Unable to verify certificate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so the server can start until the problem can be resolved.

[Mon Dec 03 10:03:56 2018] [notice] suEXEC mechanism enabled (wrapper: /usr/sbin/suexec)

[Mon Dec 03 10:03:56 2018] [error] SSL Library Error: -8181 Certificate has expired

[Mon Dec 03 10:03:56 2018] [error] Unable to verify certificate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so the server can start until the problem can be resolved.

 

위 에러메시지들 구글링해서 살펴봄

 

3.  문제 확인

 

아래 유효기간이 지나서 발생한 거라고 함.

nss 옵션을 끄고 삭제 뒤 다시 설치하기로 함

 

[root@test ssl]# certutil -d /etc/httpd/alias -L -n Server-Cert

 

Certificate:

Validity:

            Not Before: Mon Dec 01 12:14:49 2014

            Not After : Sat Dec 01 12:14:49 2018


        Subject: "CN=DBserver,O=example.com,C=US"

        Subject Public Key Info:

 

 

4.  해결

 

□   nss.conf 파일 위치 파악


[root@test ssl]# find / -name nss.conf

/etc/httpd/conf.d/nss.conf

 


□   아래 문구 없다면 nss.conf 파일 맨 아래 줄에 추가

 

NSSEnforceValidCerts off

 

 

□   재생성을 위한 기존 자료 삭제


[root@test alias]# cd /etc/httpd/alias/


[root@test alias]# ls

cert8.db  install.log  key3.db  libnssckbi.so  secmod.db


위 검색된 3개의 파일 삭제


[root@test alias]# rm -f cert8.db key3.db secmod.db


 

□  삭제 뒤 아래 문구 그대로 실행


/usr/sbin/gencert /etc/httpd/alias

 


□   mod_nss 재설치


[root@test alias]# yum remove mod_nss

[root@test alias]# yum install mod_nss

 

 

□   아파치 서버 재가동


apachectl stop

apachectl -k start


정상적으로 접속됨을 확인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IT 공부 > Server, Network,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sphere 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0) 2019.01.14
타기관으로부터 침입탐지에 대한 원인파악 협조 요구 대처 (access_log 분석)  (0) 2018.10.29
Posted by 엘랑비탈
IT 공부/Server, Network, 보안2018. 10. 29. 18:48

타기관으로부터 침입탐지에 대한 원인파악 협조 요구 대처 (access_log 분석)


1. 타기관으로부터  침입탐지에 대한 원인 파악 협조 연락이 옵니다



이쪽에 있는 특정 IP(예. 129.255.100.x) 에서  목적지 주소(예: 211.100.100.x)와의  통신 원인 파악

피해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내용입니다. 

이런 메일을 보내온 이유는

129.255.100.x에서  211.100.100.x 주소로 계속된 공격시도가 탐지된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아래와 같은 이벤트 로그가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CTEST)Relay-IP-port().18100107@ 이벤트의 탐지로그를 보내드리니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이면에는 '혹시 너네 서버 해킹당해서 공격 경유지로 쓰인 거 아니냐? 피해 입었는지 살펴보고 왜 우리쪽에 공격 시도를 했는지 공격시도가 아니라면 무엇인지 밝혀달라' 뜻이 있는 것 같습니다.


2.  우선  211.100.100.x  주소가 어딘지 파악해봅니다

whois.kisa.or.kr에 들어가 위 주소를 검색해봅니다




아래와 같은 해당 기관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대충 뭐하는 데구나 감을 잡습니다. 왜 저기로 계속 이쪽 서버에서 공격으로 탐지되는 접속을 했을까?



3.  어떻게 129.255.100.x 여기에서 저기로 211.100.100.X로 접속을 했을까? 왜 했을까? 고민을 합니다. 우선 이쪽 웹접속 로그를 봅니다.



웹접속로그 파일 : access_log


위 로그 파일에서 목적지 주소인 211.100.100.X 를 검색해봅니다.

다음과 같이 특정 시간 대에 웹에서 이메뉴 저메뉴를 수도 없이 옮겨다니며 클릭한 것을 발견합니다.




로그로 보아 아마도  아래처럼 ① 211.100.100.X 에서 사용자가 이쪽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였고

② 뭔가 신경질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모든 메뉴를 다 클릭하여 홈피 서버측에 다량의 request를 보냈고

③ 홈피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을  211.100.100.X 일시에 보내는 과정에서 이 reply 패킷을 공격시도로

탐지하고 이벤트를 띄운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4.  위  로그를 토대로 상황을 요약하여 해당 기관에게 다시 답신을 해줍니다.

    내용은 아마도 아래와 같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로그파일을 미루어볼 때 129.255.100.x 홈페이지 웹서버를 통해 목적지 211.100.100.x 에 대한 다건의 접속시도는

    해당 네트웍망의 사용자가 브라우저상에서 웹서버에 요청한  것에 대한 다량의 reply 패킷으로 보입니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IT 공부 > Server, Network,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sphere 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0) 2019.01.14
웹사이트 접속불가 'Server-Cert'. Add "NSSEnforceValidCerts off" to nss.conf  (0) 2018.12.03
Posted by 엘랑비탈
«이전  1  다음»
태그 : 지역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Tistory

RSS FEED
블로그 이미지
엘랑비탈
new data flow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7)
자기공시 (15)
연간목표 (0)
월간목표 (0)
일간목표 (13)
자금관리 (1)
읽은 책들 (1)
가본 곳들 (0)
Insight 훈련 (48)
사업보고서 (2)
신문 (31)
독서 (13)
주식투자 (2)
대항해시대 (3)
IT 공부 (11)
엑셀, Word, Access, 문.. (2)
Java, Jsp (0)
Spring Framework (0)
JavaScript (0)
IBATIS와 MYBATIS (1)
C태그, JSTL (0)
SQL, DB (5)
jQuery (0)
HTML과 CSS (0)
Server, Network, 보안 (3)
개발관리와 절차 (0)
개발환경 (0)
기타 개발사항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달력

« » 2025.7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티스토리 홈 티스토리 가입하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