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ata flow

  • 태그

Insight 훈련/신문2019. 1. 3. 14:22

2019.01.03 (목) 시대흐름

2019.01.03 (목) 시대흐름

 

1. 디자인의 거장을 깨우는 건, 아침 위스키와 와인 한잔

① 테런스 콘란, 영국 모던 디자인의 창시자로 기사 작위까지 받은 88세 현역

② 꾸밈 없이 소박하고, 단순하며, 실용적인 그것이 좋은 디자인의 3대 조건.

③ 그는 상식을 강조했다

□ 성공하는 디자이너는 98%의 상식과 2%의 미학적 감각으로 이뤄짐

○ 시장 트렌드를 파악할 줄 알아야 하고

○ 상상력과 결단력.창의력은 기본

○ 무엇보다 온몸이 자기 확신이라는 피부로 둘러싸여야 함

○ 상식은 교양으로 쌓이고 이는 결국 공부에서 나옴

④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03/2019010300081.html

 

2. 최저임금 인상

① 최저임금發 '무인화' 확산… 만남의광장 주유소도 셀프로

□ 롯데리아 매장 60% 무인 주문기 ... 알바 일자리 1230개 사라진 셈

□ 최저임금 올해 8350원으로 작년보다 10.9% 오르는 등 2년 새 29% 인상되면서 무인기계 도입하는 기업이 급증하고 있음

□ >> 다 전기로 돌아간다. 원전 산업이 진짜 없어질 수 있을까? 현재 한전기술, 한전kps, 두산중공업. 또한 반도체 수요 더 증가.

 

② 주휴수당 피하려 알바 쪼개기... “투잡 뛰어야 할 판”

□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인건비 충격을 상쇄하려는 움직임 일고 있음

□ 대다수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최저임금은 1만 30원에 달함

○ 주휴수당을 주지 않기 위해 알바쪼개기에 나선 자영업자도 늘고 있음

‐ 주휴수당 :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주일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에게 주당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는 것임. 최저임금보다 20% 높은 금액을 별도 산정 지급

○ 알바쪼개기는 주당 근무시간이 15시간을 넘지 않도록 여러 명을 고용해 돌리는 것.

‐ “알바 쪼개기 성행으로 주변에 알바 2개를 해야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음”

○  

 

3. 멀리보고 준비 최태원의 120조원짜리 승부수

① 반도체 클러스터 만드는 SK하이닉스

② 정부가 주도하는 120조원짜리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 SK하이닉스 참여키로 함

□ SK하이닉스가 조성비용의 상당 부분을 부담할 것으로 보임

③ 그러나 SK하이닉스의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전망도 나옴

□ D램 시장에서 큰 성과 냈지만, 낸드플래시 시장에서는 점유울 10.8%로 세계 5위에 불과함

○ 낸드플래시 :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계속저장하기 떄문에 스마트폰.PC 등 IT 기기의 주 저장 장치로 스임

□ SK하이닉스로서는 낸드플래시 기술려과 생산력 확보가 기급하지만. 기존 공장에 확장을 위한 가용 부지를 모두 써버린 상황

④ 반면 삼성전자는 경기 용인, 화성에 이어 평택까지 신규 부지를 확보한 상태임

□ 평택에 4개 라인을 건설할 수 있어 아직 여유가 있는 편인데도 추가 부지 물색 중

⑤ 반도체 사업의 전략

□ 기술력과 생산력확보 두 가지로 나눔

□ SK하이닉스의 경우 기술력은 이제 상당 수준으로 올라섰지만 향후 반도체 수요 증가하는 상황 오면 생산시절 부족으로 성장 기회 놓칠 수 있음

⑥ SK하이닉스의 이런 결정의 배경

□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장기적으로 계속늘어날 것

○ >> 무인자동기계도 결국 반도체 사용하지 않나? 모든 것이 반도체와 전력수요로 귀결됨. 원전 수요는 반드시 다시 대두될 것이며 두산중공업 낙폭이 지금 현저함

⑦ 출처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5&page=1&t_num=13606304

 

4. 확정일자 받아도 보증금 못 돌려받을 수 있다?

① 대항력 갖춰도 전세금 다 못받을 수 있어

□ 세입자 입장에선 전입신고에 확정일자, 실입주까지 하면 보증금 다 돌려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임

○ 경매로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은 기준권리보다 먼저 설정된 금액 뿐임

○ 그 이후 보증금을 올렸다면 다 돌려받지 못할 수 있음

 

② 사례 : 공무원 H씨는 경매로 내 집을 마련하려고 함

□ 등기부에 공시되는 모든 권리는 경매로 소멸함

□ 매각물건 명세서를 보니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갖춘 임차인이 있었음

○ 보증금 2억 4000만원에 대한 배당요구도 해놓았음

‐ 만약 낙찰가격이 보증금보다 낮으면 돈을 더 내야하는 건 아닐까?

• H씨는 경매로 아파트를 사더라도 임차인의 보증금을 인수해야 하는지, 아닌지 헷갈림

‐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갖춘 임차인이 배당요구까지 했다면 일반적으로 매수인은 크게 걱정 안 해도 됨

• 임차인이 배당절차를 통해 보증금을 배당받을 수 있음

• 그러나 예외도 있음

→ 낙찰 물건의 매각금액이 임차인 보증금보다 낮으면 잔여 보증금은 매수인이 부담해야 함.

→ H씨기 사려는 일산 아파트의 2차 최저매각가는 2억 580만원임.

* 최저 매각금액으로 낙찰된다면 잔여 보증금 3460만원은 매수인이 인수해야 함

□ 매각물건명세서를 좀 더 자세히 보니, 임차인이 세 차례에 걸쳐 보증금을 늘린 것이 확인됨

○ 증액

‐ 최초 보증금 1억원 (2010.12.2)

‐ 2찬만원 증액(2012.10.25)

‐ 1500만원 증액(2014.10.23)

‐ 1억 500만원 증액(2016.11.8)

○ 기존권리의 설정 날짜 눈여겨 봐야 함

‐ 경매가 넘어가게 된 이유가 되는 기준권리 이후 증액한 보증금은 매수인에게 부담되지 않기 때문임

‐ 여기서 기준권리는 2010.12.3 근저당권. 이후에 증액한 보증금은 매수인이 부담 안 함

○ 이 아파트의 경우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의 보증금은 2억 4000만원 중 1억원 뿐임

‐ 근저당권보다 앞서 설정한 보증금이 1억원 뿐이기 때문임

• 다만 배당절차에서 우선변제권은 갖음.

• 최저매각가인 2억 580만우너 낙찰시 1순위 임차인에게 보증금 1억워 돌아가고 후순위 순서대로 배분됨

• 배당할 금액 고갈되면 잔여 보증금 배당 못받음

③ 출처 :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02/2019010202168.html

 

5. 연말마다 반복되는 개인의 오락가락 매매

① 날짜를 딱 찍어 그 전에는 매도했다가 그 이후 매수하는 것은 세금 때문이다.

□ 연말 기준으로 한 종목 주식을 15억원어치 이상 보유한 사람은 대주주에 해당돼 그 다음해에 주식을 팔면 차익의 최대 25%를 양도세로 내야 한다.

○ 즉 대주주가 되기 싫어서 연말에는 주식을 열심히 판다.

□ 배당 등 이자소득이 연 2천만원을 넘으면 다른 소득과 합산해 과세하는 금융소득 종합과세 또한 개인이 일제히 팔았다가 일제히 사는 이유 중 하나다.

□ 개인이 27일 이후 사는 이유는 마지막 거래일(28~30)의 이틀 전이 기준일이 되기 대문이다.

② 출처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02/2019010202133.html

 

6. 트럼프 “김정은 친서 받아…머지않아 2차 정상회담 추진”

① 너무 멀지 않을 때 2차 북미 정상회담 의사 재확인

② 트럼프는 북한이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강조하고 그걸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③ 김위원장은 지난 1일 신년사에서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트럼프와 언제든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힘

④ 원문보기: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876801.html?_fr=mt2#csidx32fcfe8287182798a219ec114708d38

 

7. 끝장 볼 것처럼 싸우는 것이 걸려요, 결혼해도 될까요?

① 서로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 어떤 식으로 대화하는지가 관건

□ 비난, 방어, 경멸, 무시를 대화 속에서 드러냈던 사람들은 80% 이상 확률 헤어짐

□ 부정적인 상황으로 흘러 갈 때 비로소 우리는 진짜 감춰져 있던 무언가를 알게 됨

② 나의 확신이 아니라, 남의 확신에 기대어 인생의 중요한 결정을 하지 마세요.

□ 그 사람의 말이 아니라 당신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아보세요.

□ 자기 인생에 책임을 진다는 건 바로 그런 거니까요

③ 원문보기:

□ http://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875097.html?_fr=mt0#csidxda2bcb7fa35348ca9b1fd36f897fa92

 

8. 불황이라는 과소망상 / 이재성

① 가장 걱정스러운 점은 변화 거부 세력의 의도된 정치 공세가 우리 경제를 불황이라는 과소망상에 빠져들게 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점

□ 내일이라도 당장 망할 것처럼 주정적인 측면을 부각하는 이들의 목소리

□ 이들의 비판은 왜곡에 가까움

○ 물가인상 반영 실질 경제성장률 보면

‐ 노무현 4.5% -> 이명박 3.2% -> 박근혜 3.0%로 노무현 정부가 가장 높음

‐ 올해도 잠재성장률 근사치인 2.7% 성장 예상

○ 문재인 정부 들어 경제가 갑자기 나빠진 게 아니라 성장률이 경향적으로 낮아지고 있음

□ 저임금.장시간 노동과 대기업 위주의 고용 없는 성장 구조를 바꾸지 않고는 잠재성장률 자체를 높이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움

○ 문재인 대통령 2일 밝힌 “경제정책의 기조와 큰 틀을 바꾸는 일”도 같은 맥락

② 출처 한겨례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76749.html?_fr=mt0

 

9. 규제에 발목 잡힌 '게임산업'…"넥슨 매각 이해간다"

① 부정적 인식. 규제 강화 발목 / 대표 콘텐츠 산업 저무나 걱정 / “누가 욕먹으며 사업하고 싶겠나”

② 넥슨 매물 나오면서 국내 게임업계 위기감 고조

□ 국내 게임업계 영화의 100배, 음악의 10배에 달하는 수출액 기록하고 있지만

○ 연간 5조원대의 수출

○ 올 하반기 들어 실적 악화

‐ 해외게임의 공세에 기업간 양극화 심화

‐ 정부기관의 규제와 개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

□ 부정적인 인식과 규제 강화가 발목을 잡음

□ 넥슨을 시작으로 게임업체 매물 쏟아질 수 있음

③ 김정주 왜 매각 나섰나

□ 게임규제. 검찰 수사 등에 시달려 평소 지인들에 “쉬고 싶다” 하소연

○ 국내 게임산업의 미래가 밝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임

□ 김정주의 다음 행보는?

○ 블록체인 등 신사업 추진할 듯

○ 매각자금으로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옴

④ 출처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038274g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Insight 훈련 > 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01.04 (금) 시대흐름  (0) 2019.01.04
2018.12.27 (목) 시대흐름  (0) 2018.12.27
2018.12.19 (수) 시대흐름  (0) 2018.12.19
2018.12.16 (일) 시대흐름  (0) 2018.12.16
2018.12.13 (목) 시대흐름  (0) 2018.12.14
Posted by 엘랑비탈
태그 : 지역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Blog is powered by Daum / Designed by Tistory

RSS FEED
블로그 이미지
엘랑비탈
new data flow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7)
자기공시 (15)
연간목표 (0)
월간목표 (0)
일간목표 (13)
자금관리 (1)
읽은 책들 (1)
가본 곳들 (0)
Insight 훈련 (48)
사업보고서 (2)
신문 (31)
독서 (13)
주식투자 (2)
대항해시대 (3)
IT 공부 (11)
엑셀, Word, Access, 문.. (2)
Java, Jsp (0)
Spring Framework (0)
JavaScript (0)
IBATIS와 MYBATIS (1)
C태그, JSTL (0)
SQL, DB (5)
jQuery (0)
HTML과 CSS (0)
Server, Network, 보안 (3)
개발관리와 절차 (0)
개발환경 (0)
기타 개발사항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

달력

« » 2025.7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티스토리 홈 티스토리 가입하기

티스토리툴바